[결과발표] 2025 서울예술교육랩 공모 결과발표 NEW
<2025 서울예술교육랩> 공모 결과발표
<2025 서울예술교육랩> 공모에 지원 신청해주신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본 사업은 급변하는 예술교육 환경과 동시대 사회 이슈에 발맞춰 선도적이고 실험적인 예술교육 콘텐츠를 발굴하고, 연구·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올해는 인공지능(AI)을 포함한 기술에 주목하고 기존 예술교육 형식에서 벗어난 새로운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발굴하고자 하였습니다.
1차 서류심의는 지원 접수하신 지원신청서를 근거로 사업에 대한 이해도 및 지원 적합성, 제안 콘텐츠의 참신성/독창성, 운영 역량 및 전문성, 실현가능성 및 효과성을 고려하여 진행하였습니다.
1차 심의 결과 총 10건의 지원 그룹/단체가 1차 서류심의에 선정되었으며 다음과 같이 1차 서류심의 결과와 향후 추진 일정을 안내드리오니, 계획에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1 |
|
심의 결과 |
■ 심의 추진경과
⦁ 심의 추진일정: 25.7.23.(수)
⦁ 심의 경과
- 신청건수 51건
- 선정건수 10건
■ 최종 심의 결과 (※ SCAS 관리번호 순)
연번 |
관리번호 |
선정자(단체)명 |
1 |
202513212 |
움**는 *상 |
2 |
202513216 |
구*나 |
3 |
202513229 |
임*진 |
4 |
202513238 |
이*연 |
5 |
202513241 |
심*솜 |
6 |
202513242 |
에*블**드 |
7 |
202513246 |
콜**브 ****토*얼 |
8 |
202513247 |
윤*호 |
9 |
202513252 |
클*바(C****a) |
10 |
202513255 |
씨**프 |
■ 심의기준 및 배점
기준 |
내용 |
배점 |
사업이해도 및 지원적합성 |
- 본 사업의 목적 및 사업방향을 명확하게 이해하였는가? - 주제와 대상에 대한 분석이 명확한가? - 교육적 요소를 염두하고 있는가? |
30 |
제안 콘텐츠의 참신성/독창성 |
- 제안한 내용이 기존 예술교육 틀에서 벗어난 참신한 형식으로 계획되었는가? - 제안한 내용의 목적, 방향, 실행방법이 구체적으로 계획되었는가? - 제안 콘텐츠의 혁신성, 도전성, 실험성 등을 판단할 때 종합적으로 우수한가? |
30 |
운영 역량 및 전문성 |
- 활동 및 앱 개발 계획이 구체적이고 체계적인가? - 제안 내용을 충분히 실행해 나갈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있는가? |
20 |
실현 가능성 및 효과성 |
- 활동 및 앱 개발계획 등 사업 계획 실행을 위한 설계 및 절차가 적절한가? - 계획서 내용이 실행을 위한 접근방법이 적절한가? |
20 |
■ 심의위원 및 심의총평
- 심의위원(※가나다순)
연번 |
성명 |
성별 |
소속및 직책 |
1 |
김서진 |
여 |
ABC LAB 대표 |
2 |
김주섭 |
남 |
서강대 아트앤테크놀로지 교수 |
3 |
양민하 |
남 |
서울시립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 교수 |
- 심의총평
총평 |
- 예술과 기술 융합을 기반으로 예술교육의 지평이 확장되고 있는 것으로 보여 기술의 진보가 예술교육에도 많은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음. 기존 기술을 도구로 활용한 기획, 예술의 기량을 측정하고 기록하는 기획이 다수 존재한 것으로 보아 본 사업이 강조하는 취지와 가치를 충분히 공감하고 있지 않다는 아쉬움이 존재함. 예술과 기술, 예술교육의 맥락에서 설득력 있게 연결짓는 기획, 당위와 필요를 충분히 설명하는 충실한 기획에 높은 점수를 주었음. - 문화예술에 대한 접근성이 낮은 계층에 대한 이해도를 바탕으로 기획하였는지 여부와 기술연계의 적정성 위주를 주요한 판단기준으로 심사함. 많은 팀들이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아이디어를 제안하였으며 그 중 몇 팀은 참신한 아이디어를 제안하여 그 효과가 기대됨. - 예술과 기술에 대한 다채로운 기획과 접근법이 돋보인 심의였으며, 예술 분야에서의 구체적인 AI 사용 발상을 엿볼 수 있는 심의였음. 사업의 취지에 맞게 예술로부터 소외된 계층을 포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기획들이 다수 보였음. 예술과 기술 그리고 교육 모두를 포용하는 기획을 제안하는 것이 상당히 어렵기에 각 요소가 균형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와 현존하는 기술이나 라이브러리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제안들이 일부 보였음. 사업 취지에 맞게 모든 요소를 수용한 기획에 높은 점수를 부여하였음. |
2 |
|
향후 추진일정 |
■ 사업 포기 및 이의 신청 기간: 최종 심의 결과 발표일로부터 10일
⦁ 사업 포기 대상
- 부득이한 상황으로 사업에 참여할 수 없는 경우
※ 기간 내 포기 시 해당 단체에 불이익 없으며, 자동으로 차순위 단체 선정
⦁ 이의 신청 대상
- 심의 절차 중 행정적으로 심각한 오류가 발생되어 잘못된 결과가 발생한 경우
- 심의 과정에서 심의위원의 이해관계, 금품향응 수수, 담합, 위계폭력 등 불공정한 심의를 한 것이 드러난 경우
- 공개된 심의위원 및 선정자/단체/시설 관련 성희롱, 성폭력 외 불공정 위배사항이 드러난 경우
- 기타 심의 과정 및 결과에 있어서 불합리한 업무처리가 발생한 경우
※ 사안에 따라 해당 심의에 참여했던 심의위원 또는 재단 감사실 등의 종합판단에 따름
■ 향후 사업 추진 절차는 개별 연락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