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총 40 건이 있습니다.
-
2022.06.08 관리자
공지 서울문화재단 온라인서비스 회원통합 안내(6월 16일~)
서울문화재단 회원 통합이 진행됩니다! 하나의 계정(ID, 비밀번호)으로 서울문화재단의 모든 온라인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회원 통합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상단 첨부파일 매뉴얼을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
2022.06.07 관리자
공지 시스템 작업 안내 (6월 15일(수), 18:30 ~ 24:00)
서울문화재단 온라인서비스 통합 회원 전환 관련 작업으로 인하여 서비스가 간헐적으로 중단 될 예정입니다.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시스템이 불안정하여 이용에 불편함이 있을 수 있음을 참고 부탁 드립니다. - 작업시간: 6월 15일 수요일, 18:30 ~ 24:00 - 대상시스템: 대표홈페이지(SFAC), 서울예술지원시스템(SCAS), 서울예술교육(artseduta) 보다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서비스 이용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감사합니다.
-
2022.03.18 관리자
공지 사업 담당자 연락처 안내
서울문화재단 대표 홈페이지 조직도에서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서울문화재단 조직도 확인하기
-
2022.03.18 관리자
공지 인터넷 익스플로러 브라우저 서비스 종료 안내
2022년 6월 15일 마이크로소프트 사의 인터넷 익스프로러 서비스가 공식 종료됩니다. 또한 2021년 8월 17일부터 인터넷 익스프로러에서 지원되던 기타 서비스들의 지원이 중단 되었습니다. 현재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기초적인 보안 업데이트 이외에는 기타사항 지원이 어려운 상황입니다. 이에 현재 서울문화재단의 시스템에 대한 호환도가 낮거나 사용하기 어려운 분은 마이크로소프트에서 후속으로 출시한엣지또는구글의크롬, 네이버웨일, 애플의사파리사용을 권장드리고 있습니다. 아래 설치 링크를 공유 드립니다. 엣지 다운로드 하러가기 크롬 다운로드 하러가기 웨일 다운로드 하러가기 사파리 다운로드 하러가기 감사합니다.
-
2023.03.29 예술교육지원팀
[결과발표] <2023 지역예술교육TA> 최종 심의 결과 안내
2023서울문화재단 지역예술교육TA 최종심의 결과 안내 2023.3.29.(수) (재)서울문화재단 예술교육지원팀 2023년 서울문화재단 지역예술교육TA공모에 관심을 갖고 지원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최종심의는1차 서류심의를 통해 선정된12건을 대상으로 인터뷰 심의를 진행하였으며, 지역돌봄 연계 예술교육 역량 및 의지,프로젝트의 적절성 및 우수성,사업이해도 및 협력의지 등을 고려하여 평가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아래와 같이2023년 서울문화재단 지역예술교육TA에 총4개의 단체가 최종 선정되었습니다. 올해 선정 단체는 매칭된 서울시 거점형 키움센터와 향후 일정을 참고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다시 한 번2023년 서울문화재단 지역예술교육TA에 많은 관심을 갖고 지원 신청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앞으로도 서울문화재단은 예술의 가치 확산을 위해 노력하는 예술가분들과 함께 협력할 수 있는 다양한 장을 만들어 나가겠습니다. 꾸준한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1 추진경과 ▢접수건수 구분 지원신청 최종선정 경쟁률 지역예술교육TA 70건 4건 17.5:1 ▢심의절차 행정검토 ▶ 1차 전문가 서류심의 ▶ 2차 전문가 인터뷰토론 심의 필수제출서류 제출여부,자격요건 미달 확인 심의기준에 따른 제출서류 검토 1차 서류심의 합격자 대상 대면 인터뷰 및 심의위원 종합토론 통한 최종 선정자 의결 ▢심의위원 연번 성명 소속 및 현직 성별 1 고영직 문학평론가,경희대학교 실천교육센터 운영위원 남 2 김지영 플러스마이너스1도씨 공동대표 여 3 밝넝쿨 오!마이라이프무브먼트 씨어터 대표 남 4 신윤선 ㈜유쾌한 대표 여 5 이윤정 댄스프로젝트 뽑기 대표 여 ▢심의기준 심의기준 가중치 세부 평가내용 서류 인터뷰 지역돌봄 연계 예술교육 역량 및 의지 50% 35% 단체(팀)가 가진 지역 내 돌봄예술교육에 대한 고민(방향성,비전 등)이 뚜렷하고 명확한지 단체(팀)의 기존 프로그램의 실행이 아닌 교육 현장,대상,지역과 연계한 예술교육을 새롭게 기획할 의지가 있는지 단체(팀)의 대표가 참여주체(TA)-협력기관 간 소통 및 매개 역할을 담당할 역량 및 의지를 갖추고 있는지 단체(팀)의 구성원들이 지역 내 돌봄예술교육 프로젝트를 기획운영할 역량 및 의지가 있는지 프로젝트의 적절성 및 우수성 50% 35% 단체(팀)가 제안하는 예술교육 프로젝트는 본 사업의 목적에 부합하는지 단체(팀)의 제안 사항에 초등 아동 및 수요기관(거점형 키움센터 및 초등돌봄기관 등)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선행되었는지 단체(팀)가 제안하는 예술교육 프로젝트를 통해 전달하고자하는 주제와 목표가 명확한지 단체(팀)가 제안하는 예술교육 프로젝트의 방향이 독창적이고 우수한지 단체(팀)가 제안하는 예술교육 프로젝트를 추진하기 위한 계획이 유연하고 협력적인지 본 프로젝트를 통한 긍정적 효과가 기대되는지 사업이해도 및 협력의지 ※인터뷰 심사에 한함 - 30% 지역 내 돌봄 현장과 초등아동에 대한 이해도는 충분한지 단체(팀)의 대표가 협력기관과의 매개자로서 지녀야할 태도(적극성,유연성,회복탄력성 등)를 갖추고 있는지 단체(팀)의 구성원이 아동 대상 및 돌봄시설에서 활동할TA로서의 자질(교육대상에 대한 이해 및 관심,사명감 등)을 갖추고 있는지 2 최종심의 결과 ▢최종선정:총4건 연번 관리번호 활동거점 단체명 신청자 1 202310718 제1호(노원‧도봉권) 아*브 손*영 2 202310737 제2호(동작권) 아*온 김*은 3 202310429 제3호(종로‧서대문권) 지*사 박*주 4 202310878 제5호(성북권) 돼*미 남*순 ▢심의총평 ▶12개 단체 모두 지역에 대한 이해가 대체로 높았으며, 어린이라는 세계를 이해하고 예술 교육적으로 접근하고자 하는 의지와 열망 또한 확인할 수 있어서 즐겁게 심의에 임할 수 있었습니다.아이들의 주도성을 최대한 존중하며 재미있게 수행하려는 단체와 각 거점센터가 요구하는 프로젝트(생태 감수성 및 과학가술 등)를 제안한 단체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선정하였고 아이들을존재가 아니라문제로 접근하려는 제안은 선정에서 제외하였습니다. ▶거점 공간에 대한 충분한 답사가 이뤄져 그에 따른 지역의 이해와 프로그램의의 연관성을 계획하여 지역예술교육TA로서의 열정을 보여주었고,프로그램을 진행하는TA로서 뿐만 아니라 한 아이를 만나는 예술가(사람)로서 자질과 태도,마음을 갖추고 있는 지원자들이 많았습니다.최종 선정되지 못한 팀에게도 다시 한 번 안타까운 마음과 응원의 마음을 전해드립니다.앞으로 지역과 재단의 더 많은 관심을 통해 더 많은 예술가들이 아이들을 만날 기회를 만들고 또 그 안에서 더 많은 예술가들이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기기를 바랍니다. ▶예술교육의 전문성이 높고 생활 지역 안에서 네트워크가 구축된 팀들은 거점을 기반으로 지역과 상호작용,사업이 끝난 후의 지속성을 기대하게 하였습니다.다만 안정성이 보장된 만큼 창의 적인 과정이 시도되고 예술교육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해 주었으면 합니다.최종적으로 프로젝트에 팀의 정체성과 철학을 담고 있으며 참여자(아동)을 학습대상자로 위치시키지 않고 적극적인 개입과 주도성이 발현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한 팀을 높이 평가하였습니다.예술가와 참여 아동이 공동의 예술창작자로서 새로운 시도를 예술교육 현장 곳곳에서 지속적으로 행해갔으면 합니다. ▶각 팀이 생각하는 돌봄이란 무엇인지 다양한 답변들을 들으며 예술 안에서 서로를,스스로를 돌본다는 것이 참으로 아름다웠습니다.지역예술교육TA는 센터와의 긴밀한 소통과 참여자들의 소통 그리고TA끼리의 소통까지 많은 관계와 소통의 문제를 풀어가며 진행해야 하는 프로그램이기에 학교 내 예술육과 달리 자유롭지만 그만큼 더 어려울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모든 지원자들이 예술교육과 돌봄을 중심에 놓고 고민하시는 점이 매우 인상적이었습니다.지역성에 대한 고려나 지역 내에서 함께 해야 하는 네트워크를 고려한다는 점 역시 사업의 중요한 숙제가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원자 모두의 협력의지가 매우 돋보였고 지역성과의 결합에 대한 부분도 고민이 얕지 않았습니다.이제 우리 시대의 예술교육은 예술 활동을 통해 예술을 경험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여러 가지 방향으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한 것 같습니다.다양하고 복합적인 질문과 고민들이 예술교육의 차원을 넘어 우리 사회의 중요한 개념인 돌봄에까지 긍정적 에너지를 힘껏 미칠 수 있길 기대해봅니다. 3 향후 추진일정 ▢추진일정 구분 일정 장소/방법 최종 결과 발표 2023.3.29.(수)예정 홈페이지,서울예술지원시스템(SCAS) 사업포기 및 이의신청 최종 결과 발표일~ 2023.4.7.(금) 담당자 유선연락 ‣사업포기대상 부득이한 상황으로 사업에 참여할 수 없는 경우 ※기간 내 포기 시 자동으로 예비단체(차점자 순)선정 ‣이의신청대상 심의절차 중 행정적으로 심각한 오류가 발생되어 잘못된 결과가 발생한 경우 심의과정에서 심의위원의 이해관계,금품향응 수수,담합,위계폭력 등 불공정한 심의를 한 것이 드러난 경우 심의위원 및 선정단체(팀)관련 성희롱,성폭력 외 불공정 위배 사항이 드러난 경우 기타 심의과정 및 결과에 있어서 불합리한 업무처리가 발생한 경우 ※사안에 따라 해당 심의에 참여했던 심의위원 또는 재단 감사실 등의 종합판단에 따름 오리엔테이션 및 파트너십 역량강화 ‣오리엔테이션: 2023.4.11.(화) ‣센터별 파트너십 역량강화: 2023.4.12.(화)~4.17.(월)예정 서울문화재단 대학로 및 서울시 거점형 키움센터4곳 ※상기 일정은 변경될 수 있음 ※선정 단체 대상 개별 상세 안내 예정 ※선정 결과 공고 후라도 보조금 사업의 미정산 및 위반행위 등 결격 사유가 확인될 경우,해당사업의 지원이 취소되거나 보조금 규정 위반행위 처리기준에 따라 처분 될 수 있음 ※지원사업의 선정단체는 연내 본 사업과 관련한 컨설팅,모니터링,사업평가 추진시 적극 협조 요망 ※문의처: 02-758-2124 (평일10:00~17:00,점심 휴게시간 제외)
-
2023.03.27 서울장애예술창작센터
[결과발표] 2023 장애예술인 창작활성화 지원사업 결과발표
2023년장애예술인 창작활성화 지원사업최종 선정결과 안내 2023년장애예술인 창작활성화 지원사업에 관심을 가지고 지원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 드립니다. 기 안내된 장르별 심의기준에 따른 서류 및 토론심의를 통하여, 예술적인 완성도와 더불어 구체적인 창작계획과 그 계획을 통한장애예술의 가치를 선명하게 드러내고자 하는 33개 프로젝트를 최종 선정하였습니다. 앞으로도 장애예술인의 창작 활성화 및안정적인 창작 환경 조성을 위해 노력하는 서울문화재단이 되겠습니다.감사합니다. ※심의결과 및 총평,향후 일정 등은 심의결과 공고문참조 부탁 드립니다.
-
2023.03.24 예술교육지원팀
[결과발표] 2023 서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최종 선정결과 발표
2023 서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최종 심의 결과 안내 2023. 3. 24.(금) (재)서울문화재단 예술교육지원팀 2023 서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공모에 지원 신청해주신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본 지원사업은 유아부터 성인까지 누구나 예술을 경험하고 창작역량을 증진할 수 있는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생애주기형(A/B/C), 예술가(단체)의 창작 활동(작품)을 기반으로 참신한 시도와 변화를 모색하는 예술교육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자율기획형의 안정적 운영을 목적으로 합니다. 최종 심의는 1차 서류심의를 통해 선정된 생애주기형 A트랙(유아) 9건, B트랙(아동청소년) 27건, C트랙(시민) 22건, 자율기획형 21건, 연속지원형 10건, 총 89건의 지원자/단체를 대상으로 최종 인터뷰 심의를 진행하였으며 사업에 대한 이해도 및 지원 적합성, 프로그램/프로젝트의 우수성, 운영 역량 및 전문성, 구체성과 실현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평가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아래와 같이 2023 서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공모는 총 46건의 지원자/단체가 최종 선정되었으며, 기선정 된 연속지원형 단체(10개)를 포함하여 총 56건의 지원자/단체가 사업에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올해 선정 지원자/단체는 지원금 확정액과 향후 일정을 참고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다시 한 번 2023 서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지원 신청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최종 심의 결과 (※사업 별 SCAS 관리번호 순) ⦁생애주기형A (유아):총6건 선정 구분 단체명 관리번호 확정 지원금(원) 1 광*각 202308005 24,000,000 2 아*니 202308891 23,000,000 3 주*랩 202308975 24,000,000 4 드*풀 202309218 23,000,000 5 극*락 202309350 22,000,000 6 헬*움 202309647 24,000,000 총 6개 단체 - 140,000,000 ⦁생애주기형B (아동청소년):총18건 선정 구분 단체명 관리번호 확정 지원금(원) 1 어*트 202307246 21,000,000 2 텐*트 202307436 20,000,000 3 물*무 202307499 20,000,000 4 제*티 202307833 18,000,000 5 아*다 202308083 21,000,000 6 아*우 202308168 21,000,000 7 먼*말 202308290 20,000,000 8 고* 202308388 19,000,000 9 얌*지 202308676 20,000,000 10 움*E 202308889 20,000,000 11 바*녹 202308914 18,000,000 12 예*다 202308917 21,000,000 13 조*트 202308982 21,000,000 14 달* 202308993 21,000,000 15 씨*프 202309160 20,000,000 16 사*소 202309275 21,000,000 17 모*동 202309359 21,000,000 18 공*다 202309470 20,000,000 총 18개 단체 - 363,000,000 ⦁생애주기형C (시민):총11건 선정 구분 단체명 관리번호 확정 지원금(원) 1 호*브 202307637 19,000,000 2 창*자 202307724 20,000,000 3 종*정 202307733 18,000,000 4 통*스 202307783 20,000,000 5 사*다 202307897 20,000,000 6 예*이 202308374 20,000,000 7 은*합 202308394 19,000,000 8 본*랩 202308724 20,000,000 9 내*로 202308880 20,000,000 10 창*개 202309368 20,000,000 11 예*네 202309426 20,000,000 총 11개 단체 - 216,000,000 ⦁자율기획형:총11건 선정 구분 단체명 관리번호 확정 지원금(원) 1 박*영 202306920 27,000,000 2 남*순 202307769 27,000,000 3 예*다 202307808 28,000,000 4 사*다 202308554 27,000,000 5 움*상 202308978 27,000,000 6 여*연 202309010 28,000,000 7 월*들 202309191 27,000,000 8 어*트 202309205 28,000,000 9 극*계 202309354 28,000,000 10 음*튠 202309398 29,000,000 11 박*자 202309493 24,000,000 총 11개 지원자/단체 - 300,000,000 ⦁연속지원형: 총 10건 (※기선정 완료) 구분 단체명 관리번호 확정 지원금(원) 생애 주기형B (아동청소년) (舊) 꿈다락토요 문화학교 크*키 202310366 21,000,000 무*오 202311138 26,000,000 생애 주기형C (시민) (舊)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무*오 202310345 26,000,000 플*잼 202311097 26,000,000 코*가 202311110 24,000,000 극*장 202311165 23,000,000 성*술 202311210 24,000,000 (舊) 서울시민 예술대학 발*니 202311063 26,000,000 프*터 202311088 26,000,000 리*익 202311093 26,000,000 총 10개 단체 - 248,000,000 ※심의총평 및 향후 일정 안내 등은 첨부드린심의 결과 안내문을 참조 부탁드립니다.
-
2023.03.20 예술교육지원팀
<2023 지역예술교육TA> 1차 서류심의 결과 및 2차 인터뷰심의 안내
2023 서울문화재단 지역예술교육TA 1차 서류심의 결과 및 2차 인터뷰심의 안내 2023.3.20.(월) (재)서울문화재단 예술교육지원팀 2023년 서울문화재단 지역예술교육TA 공모에 관심을 갖고 지원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1차 서류심의는 지원신청서를 근거로 지역돌봄 연계 예술교육 역량 및 의지, 프로젝트의 적절성 및 우수성을 고려하여 진행하였습니다. 1차 서류심의 결과와 2차 인터뷰심의 일정을 아래와 같이 안내드리오니 향후 계획에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제한된 선정 건수로 인해 모든 분들과 함께하지 못함에 아쉬운 마음을 전합니다. 앞으로도 서울문화재단은 예술의 가치 확산을 위해 노력하는 예술가분들과 함께 협력할 수 있는 다양한 장을 만들어 나가겠습니다. 꾸준한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1차 서류심의 선정단체 및 2차 인터뷰심의 일정 순번 관리번호 단체명 신청자 심의 시간 1 202310755 N*C 김*현 10:00 2 202310372 지*in 김*경 10:15 3 202310086 티*랩 이*엽 10:30 4 202310594 너*려 이*정 10:45 5 202310878 돼*미 남*순 11:00 6 202310799 보*처 김*준 11:15 7 202310471 예*다 이*실 11:30 8 202310718 아*브 손*영 13:00 9 202310737 아*온 김*은 13:15 10 202310630 아*로 임*정 13:30 11 202310429 지*사 박*주 13:45 12 202310444 프*라 김*현 14:00 ◆ 2차 인터뷰심의 안내 - 일자 및 장소: 2023.3.27.(월) / 서울문화재단 대학로 ※ 선정단체 대상 상세 일정 개별 안내 - 심의 참석대상: 지원단체 대표TA 포함 팀원 3인 전원 - 심의 방식: 대면 인터뷰 / 지원신청 프로그램에 대한 질의응답 10~15분 ◆ 향후 일정 - 최종 선정 결과 발표: 2023.3.29.(수) 예정 - 선정단체 오리엔테이션 및 워크숍: 2023.4.11.(화)~4.17.(월) 예정 ※ 상기 일정은 변경될 수 있음 ◆ 유의사항 - 2차 인터뷰심의는 대면으로 진행되며 지원신청단체 대표TA 포함 2인 전원 참석 - 지원단체 별 인터뷰 심의 시간 상이하며, 세부 사항은 개별 안내 예정 - 인터뷰심의 불참 시 심의 대상자에서 제외 ※ 단, 코로나 바이러스감영증-19 격리로 인터뷰심의 참석이 어려울 경우 인터뷰심의 1일 전 오후 2시까지 담당자에게 연락 바람 ◆ 문의 - 문의처: 02-758-2124 - 문의시간: 평일 10:00~17:00, 점심 휴게시간 제외
-
2023.03.10 예술교육지원팀
<2023 서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1차 서류심의 결과 및 2차 인터뷰심의 안내
2023 서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1차 서류심의 결과 및 2차 인터뷰심의 안내 2023. 3. 10.(금) (재)서울문화재단 예술교육지원팀 2023 서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공모에 지원 신청해주신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본 지원사업은 유아부터 성인까지 누구나 예술을 경험하고 창작역량을 증진할 수 있는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생애주기형(A/B/C), 예술가(단체)의 창작 활동(작품)을 기반으로 참신한 시도와 변화를 모색하는 예술교육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자율기획형의 안정적 운영을 목적으로 합니다. 1차 서류심의는 지원 접수한 대상의 지원신청서를 근거로 사업에 대한 이해도 및 지원 적합성, 프로그램/프로젝트의 우수성, 운영 역량 및 전문성, 구체성과 실현가능성을 고려하여 진행하였습니다. 그 결과 총 79건의 지원자/단체가 1차 서류심의에 선정되었고, 1차 선정자/단체를 대상으로 2차 인터뷰심의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아래와 같이 1차 서류심의 결과와 2차 인터뷰심의 일정을 안내드리오니, 향후 계획에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다시 한 번 2023 서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지원 신청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리며 제한된 규모로 함께하지 못하게 된 지원자/단체에게도 안타까운 마음을 전합니다. 서울문화재단은 예술창작으로서 예술교육을 고민시도하고 실행하는 예술가(예술교육가)의 역할을 중요시합니다. 일상 속 예술교육을 통해 시민들이 예술의 주체가 되는 경험, 예술가(예술교육가)의 작업을 통해 시민과 만나는 예술가(예술교육가)의 활동, 공간을 기반으로 지역이 예술가와 만나고 변화하는 예술교육을 지원하기 위해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생애주기형 A트랙(유아) - 1차 서류심의 선정단체 및 2차 인터뷰심의 일정 ※서울문화예술지원시스템(SCAS) 관리번호 순 연번 관리번호 단체명 심의 일자 심의 시간 1 202307500 허*니 3.17.(금) 14:15 2 202307817 재*단 14:30 3 202308005 광*각 14:45 4 202308891 아*니 15:00 5 202308975 주*랩 15:15 6 202309218 드*풀 15:45 7 202309350 극*락 16:00 8 202309533 아*이 16:15 9 202309647 헬*움 16:30 - 2차 인터뷰심의 안내 일자 및 장소 : 2023.3.17.(금) / 서울문화재단 대학로※선정단체 대상 상세 일정 개별 안내 심의 참석대상 : 지원신청단체 대표자 1인, 실무자 1인 심의 방식: 대면 인터뷰 / 지원신청 프로그램에 대한 질의응답 10~15분 ◆ 생애주기형 B트랙(아동청소년) - 1차 서류심의 선정단체 및 2차 인터뷰심의 일정 ※서울문화예술지원시스템(SCAS) 관리번호 순 연번 관리번호 단체명 심의 일자 심의 시간 1 202306958 책*합 3.21.(화) 9:15 2 202307246 어*트 9:30 3 202307255 모*촘 9:45 4 202307436 텐*트 10:00 5 202307499 물*무 10:15 6 202307710 평*미 10:30 7 202307774 리*노 10:55 8 202307833 제*티 11:10 9 202308083 아*다 11:25 10 202308168 아*우 11:40 11 202308290 먼*말 11:55 12 202308388 고* 12:10 13 202308512 패*랩 13:25 14 202308676 얌*지 13:40 15 202308874 움*상 13:55 16 202308889 움*E 14:10 17 202308914 바*녹 14:25 18 202308917 예*다 14:40 19 202308923 문*림 14:55 20 202308982 조*트 15:10 21 202308993 달* 15:35 22 202309160 씨*프 15:50 23 202309275 사*소 16:05 24 202309307 크*영 16:20 25 202309359 모*동 16:35 26 202309470 공*다 16:50 27 202309671 극*계 17:05 - 2차 인터뷰심의 안내 일자 및 장소 : 2023.3.21.(화) / 서울문화재단 대학로※선정단체 대상 상세 일정 개별 안내 심의 참석대상 : 지원신청단체 대표자 1인, 실무자 1인 심의 방식: 대면 인터뷰 / 지원신청 프로그램에 대한 질의응답 10~15분 ◆ 생애주기형 C트랙(시민) - 1차 서류심의 선정단체 및 2차 인터뷰심의 일정 ※서울문화예술지원시스템(SCAS) 관리번호 순 연번 관리번호 단체명 심의 일자 심의 시간 1 202306850 블*씨 3.15.(수) 09:15 2 202307247 어*트 09:30 3 202307637 호*브 09:45 4 202307724 창*자 10:00 5 202307733 종*정 10:15 6 202307735 인*얼 10:30 7 202307782 푸*포 10:45 8 202307783 통*스 11:10 9 202307897 사*다 11:25 10 202308249 주*다 11:40 11 202308374 예*이 11:55 12 202308394 은*합 12:10 13 202308565 예*동 12:25 14 202308724 본*랩 13:30 15 202308880 내*로 13:45 16 202309007 공*타 14:00 17 202309040 소*m 14:15 18 202309088 아*온 14:30 19 202309246 앤*트 14:45 20 202309348 모*니 15:00 21 202309368 창*개 15:30 22 202309426 예*네 15:45 - 2차 인터뷰심의 안내 일자 및 장소 : 2023.3.15.(수) / 서울문화재단 대학로※선정단체 대상 상세 일정 개별 안내 심의 참석대상 : 지원신청단체 대표자 1인, 실무자 1인 심의 방식: 대면 인터뷰 / 지원신청 프로그램에 대한 질의응답 10~15분 ◆ 자율기획형 ※서울문화예술지원시스템(SCAS) 관리번호 순 연번 관리번호 단체명 심의 일자 심의 시간 1 202306691 주*몰 3.16.(목) 09:15 2 202306920 박*영 09:30 3 202307769 남*순 09:45 4 202307808 예*다 10:00 5 202308148 핸*셀 10:15 6 202308169 주*정 10:30 7 202308554 사*다 10:45 8 202308607 낭*단 11:10 9 202308610 신*지 11:25 10 202308888 송*원 11:40 11 202308921 내*로 11:55 12 202308978 움*상 12:10 13 202309010 여*연 12:25 14 202309036 분*머 13:30 15 202309037 사*럼 13:45 16 202309191 월*들 14:00 17 202309205 어*트 14:15 18 202309240 망*실 14:30 19 202309354 극*계 14:45 20 202309398 음*튠 15:00 21 202309493 박*자 15:30 - 2차 인터뷰심의 안내 일자 및 장소 : 2023.3.16.(목) / 서울문화재단 대학로※선정자/단체 대상 상세 일정 개별 안내 심의 참석대상 : 지원신청자/단체 대표자 1인, 참여인력 1인 심의 방식: 대면 인터뷰 / 지원신청 프로젝트에 대한 질의응답 10~15분 ◆ 2023 서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공통 안내사항 - 향후 일정 최종 선정 결과 발표 : 2023.3.24.(금) 예정 선정단체 오리엔테이션 및 워크숍 : 2023.4.6.(목) ~ 4.12.(수) 중 예정 ※상기 일정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유의사항 2차 인터뷰심의는 대면으로 진행되며 지원자/단체별 2인 이내 참석 가능 지원자/단체별 인터뷰심의 시간 상이하며, 세부 사항 개별 안내 예정 인터뷰심의 불참 시 심의 대상자에서 제외 ※단, 코로나 바이러스감염증-19 격리로 전원 인터뷰심의 참석 어려울 경우 인터뷰심의 1일 전 오후 2시까지 담당자에게 연락 바람 - 문의 (10:00~17:00, 점심 휴게시간 제외) 생애주기형 A트랙(유아) 02-758-2122 생애주기형 B트랙(아동청소년) 02-758-2123 생애주기형 C트랙(시민) 02-758-2118 자율기획형 02-758-2117
-
2023.01.27
[결과발표] 2023 원로예술지원사업 최종 심의결과 발표
2023년 원로예술지원 최종 심의결과 발표 서울문화재단 원로예술지원사업에 관심을 가지고 신청해 주신 모든 예술인들에게 감사드리며, 첨부와 같이 최종 선정결과를 공지합니다. 최종 심의결과, 총평 등은 별도 첨부파일을 확인 부탁드립니다. ※ 예술적 수월성 등 사업계획의 질적 평가 측면에 대한 이의제기는 가치판단 영역이므로 이의신청 대상(범위)에 해당되지 않음을 알려드립니다. ※ 전체 및 향후일정 안내 등은 심의결과 공지문 참조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서울문화재단